목차
언제 활용하면 되나요?
문항 간 로직(이하 문항 로직)이란 특정한 조건의 응답자만 특정 문항에 답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조건이에요. 문항 로직은 2가지로 나뉘어요.
•
문항 진입 로직: 특정한 응답을 선택한 응답자만 문항에 진입하는 로직
•
문항 이동 로직: 응답자의 답변에 따라 다음 질문이 결정되는 로직
하나의 질문에 ‘예’와 ‘아니오’라고 답변한 사람에게 서로 다른 질문을 보여주고 싶을 때 문항 로직 설정으로 도움을 드릴 수 있어요.
어디서 사용하면 되나요?
오른쪽 사이드바의 [문항 옵션] 탭의 [로직] 파트에서 설정할 수 있어요.
문항 진입 로직
따로 설정하지 않는다면 설문은 문항 순서에 따라 차례로 진행됩니다. 그러나 응답자가 이전 문항에서 응답한 것에 따라 해당 문항에 진입하게 하고 싶다면 [문항 진입 로직]을 설정할 수 있어요.
문항 진입 로직 규칙 알아보기
문항 진입 로직은 조건을 충족하는 응답자만 문항에 진입하도록 설정할 수 있어요.
1.
[조건 추가] 버튼을 눌러 새로운 조건을 추가할 수 있어요.
2.
AND는 ‘그리고’를 의미해요. OR은 ‘또는’을 의미해요.
•
AND를 선택하면 a와 b 조건 모두 충족하는 응답자가 진입해요.
3.
OR은 ‘또는’을 의미해요.
•
OR를 선택하면 a와 b 조건 중 하나만 충족해도 진입해요.
4.
’그룹’은 1개 이상의 조건이 모인 집단이에요.
•
[그룹 추가] 버튼을 눌러 그룹 간에도 AND, OR 조건을 사용할 수 있어요.
•
같은 그룹 내에서는 AND나 OR 중 하나만 선택해서 쓸 수 있어요.
문항 진입 로직 설정하기
조건이 하나일 때
•
선택함 : 해당 응답을 선택한 사람만 문항에 진입할 수 있어요.
◦
Ex) 1번 문항에서 좋아하는 과일로 포도를 선택한 사람만 해당 문항에 진입이 가능해요.
•
선택하지 않음 : 해당 응답을 선택하지 않은 사람만 문항에 진입할 수 있어요.
◦
Ex) 1번 문항에서 좋아하는 과일로 사과를 선택한 사람을 제외하고 해당 문항에 진입이 가능하고, 사과를 선택한 사람은 진입이 불가능해요.
•
한 개의 조건 내 복수 설정 : 한 문항 내에서 복수의 응답을 조건으로 추가하는 경우 OR 조건이 됩니다. 해당 응답 중에서 하나라도 선택한 사람은 문항에 진입이 가능해요.
◦
Ex) 1번 문항에서 사과나 포도, 멜론 중 하나라도 택한 사람은 해당 문항에 진입할 수 있어요.
조건이 두 개 이상일 때
•
AND 조건 : 각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문항에 진입 가능해요.
◦
Ex) 첫 번째 이미지는 1번 문항에서 사과와 포도를 모두 선택한 사람만 문항에 진입 가능해요. 두 번째 이미지는 같은 문항이라면 보기를 OR 조건으로도 선택할 수 있어요.
◦
Ex) 1번 문항에서 사과를 선택하고 2번 문항에서는 토끼를 선택한 사람만 문항에 진입이 가능해요.
•
OR 조건 : 각 조건 중 하나라도 선택한 사람은 문항에 진입할 수 있어요.
◦
Ex) 1번 문항에서 사과나 포도 중 하나라도 선택했다면 문항에 진입이 가능해요.
◦
Ex) 1번 문항에서 사과 혹은 2번 문항에서 호랑이 중 하나라도 선택했다면 문항에 진입할 수 있어요.
그룹이 두 개 이상일 때
•
각 그룹 간에도 AND와 OR 조건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. 그룹이 세 개 이상인 경우는 위에 있는 그룹부터 순서대로 적용됩니다.
문항 이동 로직
따로 설정을 하지 않는다면 설문은 문항 순서에 따라 차례로 진행됩니다. 그러나 특정 문항이나 응답에 따라 다음에 올 설문 순서를 건너뛰거나, 특정 문항으로 이동시키거나, 설문을 종료시키고 싶은 경우 [문항 이동 로직]을 설정할 수 있어요.
문항 이동 로직은 2가지 옵션에서 선택할 수 있어요.
1.
문항 응답 후 이동 옵션: 전체 문항에 로직을 거는 옵션이에요.
2.
보기 선택 시 이동 옵션: 특정 보기를 선택했을 때에 로직을 거는 옵션이에요.
※ 문항 이동 로직 유의사항
이동 로직으로 인해 응답 순서가 뒤섞이지 않도록 유의해 주세요.
Q1 → Q2 → Q3 → Q4 순서로 제작한 설문 문항이 문항 이동 로직으로 인해 순서가 역전되면, 응답 데이터가 삭제되거나 덮어쓰기 되어 올바른 결과 데이터가 나오지 않을 수 있습니다.
•
Ex) 응답 데이터가 삭제 되는 경우
◦
문항 이동 로직으로 인해 응답자가 Q1 → Q3 → Q2 → Q4 순서로 응답하게 되면 Q3의 응답 데이터가 삭제됩니다.
•
Ex) 응답 데이터가 덮어쓰기 되는 경우
◦
문항 이동 로직으로 인해 Q1 → Q3 → Q2 → 다시 Q3 순서로 응답하게 되면 처음에 응답했던 Q3의 데이터가 마지막 Q3 응답 데이터로 덮어쓰기 됩니다.
문항 응답 후 이동 옵션
따로 설정을 하지 않는다면 설문은 문항 순서에 따라 차례로 진행됩니다. 그러나 특정 문항이나 응답에 따라 다음에 올 설문 순서를 건너뛰거나, 특정 문항으로 이동시키거나, 설문을 종료시키고 싶은 경우 ‘문항 이동 로직’을 설정할 수 있어요.
1.
다음 문항으로 이동: 문항 응답 후 바로 다음 문항으로 보내고 싶다면 [다음 문항으로 이동]을 선택합니다. 설문 응답 후의 액션을 따로 설정하지 않는다면 기본으로 설정 되어 있어요.
2.
완료 페이지로 이동: 문항 응답 후 설문을 종료하길 원하는 경우 [완료 페이지로 이동]을 선택해 주세요.
3.
특정 문항으로 이동: 문항 응답 후 특정 문항으로 보내고 싶다면 [특정 문항으로 이동]을 선택해 주세요. 다음 문항과는 관계 없이 선택한 특정 문항으로 이동해요.
보기 선택 시 이동 옵션
객관식 단일 문항인 경우는 선택한 보기에 따라 특정 문항이나 완료 페이지로 이동 시킬 수 있어요. 객관식 중복 및 순위 문항인 경우는 개별 설정이 불가능하고, [없음 보기]에만 설정할 수 있어요.
1.
문항 옵션에 따름: 특정 보기 선택자에 대해 별다른 설정이 필요 없다면 [문항 옵션에 따름]을 선택합니다. 기본으로 설정되어 있어요.
2.
완료 페이지로 이동: 특정 보기 선택 시 설문을 종료하길 원하는 경우 [완료 페이지로 이동]을 선택해 주세요.
3.
특정 문항으로 이동: 선택한 보기에 따라 특정 문항으로 보내고 싶다면 선택해 주세요. 순서를 건너 뛰고 해당 문항으로 이동해요.
•
Ex) 1번 문항에서 ‘예’라고 답한 사람을 2번 문항으로, ‘아니요’라고 답한 사람을 3번 문항으로 보낼 때 사용해요.
AND/OR 조건 TIP
AND과 OR, ‘선택함’과 ‘선택하지 않음’의 영역을 보라색으로 표시했어요! 이해하기 쉽게 벤다이어그램으로 확인해보세요.
1.
A AND B : A와 B에 모두 속한 교집합을 의미해요.
2.
A OR B : A와 B 중 하나라도 속한 합집합을 의미해요.
1.
A를 선택하지 않음 : A에 속한 것을 제외한 것을 의미해요.
2.
A를 선택 : A에 속한 것을 의미해요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