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earch
Duplicate
💯

결과 요약 한 번에 이해하기

목차

언제 활용하면 되나요?

첫 번째 피드백이 수집되었다면 [결과] 페이지에서 실시간으로 문항별 수집 결과를 확인해 보세요. 보고 싶은 데이터만 필터링해서 보거나 Excel이나 PDF로 결과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어요.

어디서 사용하면 되나요?

수집 중인 폼이 있다면: 피드백 홈 폼 목록에서 [결과]를 클릭하세요.

문항별 결과 요약

응답 결과는 막대그래프와 텍스트로 확인할 수 있어요. 피드백 수에 따라 결과가 실시간으로 반영되기 때문에 피드백 수집이 종료되기 전까지 데이터는 계속해서 달라질 거예요.

객관식 단일형 · 중복형

막대 그래프 형태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어요. 객관식 단일형과 중복형 문항에서 주관식으로 받은 기타 의견은 오른쪽 [기타 의견]에서 함께 확인할 수 있어요.

객관식 순위형

순위별로 막대그래프 색상을 구분해서 결과를 볼 수 있어요. 1순위가 가장 진한 색으로 표시되며 순위가 낮아질수록 막대그래프 색이 점점 옅어져요. 객관식 순위형에서 주관식으로 받은 기타 의견은 오른쪽 [기타 의견]에서 함께 확인할 수 있어요.
왼쪽 [순위 필터] 기능을 이용해 데이터를 볼 순위 표기 기준을 설정할 수 있어요. 원하는 순위까지 필터를 걸면 그래프에 해당 순위까지의 응답이 표시됩니다.

보기에 이미지를 넣은 경우

객관식 문항에만 보기에 이미지를 넣을 수 있어요. 이미지를 넣은 경우 응답 결과 그래프 아래에 보기별로 제시한 이미지도 함께 확인할 수 있어요.

평가형

평가형 문항은 막대그래프 형태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어요. 오른쪽에서 응답 평균도 함께 볼 수 있어요.

NPS

NPS는 막대그래프 형태로 응답 결과를 확인할 수 있어요. 응답자가 0~10점 사이에 준 점수에 따라 3개의 그룹(비추천·중립·추천)으로 분류하여 그래프로 보여줘요. 오른쪽에서 NPS 점수도 함께 볼 수 있어요. NPS 점수는 추천 그룹의 비율에서 비추천 그룹 비율을 뺀 값으로 계산해요.
비추천 그룹: 0~6점을 응답한 사람
중립 그룹: 7~8점을 응답한 사람
추천 그룹: 9~10점을 응답한 사람

주관식 문자형

주관식 문자형은 결과 데이터를 텍스트로 확인할 수 있어요.

주관식 숫자형

주관식 숫자형은 히스토그램으로 구간별 응답 결과를 확인할 수 있어요.

결과 데이터 다운로드

Excel 다운로드

오른쪽 상단 [Excel 다운로드]를 통해 결과 데이터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어요.
1.
응답 시각: 응답자가 응답한 시각을 확인할 수 있어요.
2.
응답코드: 응답을 웹링크(공통URL)로 수집하거나 익명으로 수집한 경우 응답 구분을 위해 활용됩니다.
3.
피드백 ID: 주소록에 고객 연락처를 등록할 때 생성되는 응답자의 고유 ID이에요. 어떤 고객이 응답했는지 피드백 ID를 통해 구분할 수 있어요.
4.
그룹 타입: 어떤 채널로 응답을 수집했는지 확인할 수 있어요.
5.
그룹명: 어떤 수집 그룹에서 응답했는지 확인할 수 있어요.
6.
문항: 각 응답자의 문항별 응답을 확인할 수 있어요.

PDF 다운로드

오른쪽 상단 [PDF 다운로드]를 통해 다운로드받을 수 있어요. Feedback.io에 접속하지 않고 결과 페이지를 살펴보거나 출력하고 싶을 때 이용할 수 있어요.

대시보드 추가하기

대시보드 기능은 특정 문항에 대한 결과 데이터 추이를 꾸준히 모니터링하고 싶을 때 활용할 수 있어요. 예를 들어 주기적으로 결과의 변화를 지켜봐야 하는 NPS 문항이나 서비스 개선을 위해 고객의 만족도를 묻는 문항은 대시보드를 설정해두면 결과 변화를 쉽게 확인할 수 있어요. 대시보드를 추가하면 왼쪽 사이드바 [대시보드] 탭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.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여기를 참고해 주세요.
대시보드에 추가하고 싶은 문항은 오른쪽 상단 [대시보드 추가]를 클릭하면 대시보드로 추가할 수 있어요. 주관식 문항에 대한 대시보드 기능은 추후에 제공될 예정이에요.

데이터 클리닝 및 오픈애널리틱스

데이터 클리닝: 보고 싶은 결과 데이터만 필터링해서 보고 싶다면 이용해주세요. 불필요하다고 생각하는 특정 응답을 숨김으로 처리하여 원하는 데이터만 선별해서 볼 수 있어요. 데이터 클리닝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다면 여기를 참고해주세요.
OpenAnalytics: 오픈서베이에서 자체적으로 제공하고 있는 설문 데이터 분석 툴이에요. 교차분석을 통해 데이터를 다각도로 분석하거나 결과 보고서를 만들 때 활용할 수 있어요. 오픈애널리틱스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다면 여기를 참고해주세요.